Firefly Pointer 궁금하신 점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.(2023년~ 노션으로 이동) — 궁금하신 점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.(2023년~ 노션으로 이동)
전체 글

전체 글

    22.07.01

   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.

    [백엔드] 리눅스(Linux) 기초 5 - 명령어 옵션

    -r 과 -f @ -r (recursive) : 특정 행동을 순환적으로 반복 @ -f (force) : 강제실행 참고링크 : '7. 파일, 디렉터리 조작을 위한 기본 명령어들 cat대신 쓰는 명령어 @ cat : 파일 안의 내용 출력 : 파일 내용이 길 경우, 잘릴 수 있다. : 전체가 다 출력되버린다 @ 대체할 수 있는 명령어 링크 : head 명령어 tail 명령어 more 명령어 less 명령어 헬프 옵션 @ 헬프 (도움말) 헬프 옵션(-h, –help)으로 사용법 출력하기

    [백엔드] 리눅스(Linux) 기초 4 - 환경변수

    [백엔드] 리눅스(Linux) 기초 4 - 환경변수

    @ 학습 목표 1) 환경변수의 이해 2) 환경변수 사용 목적 3) 전역/지역 환경변수의 차이 이해 4) 환경변수의 임시적 적용 5) 환경변수의 영구적 적용 6) 환경변수의 개별값 확인 7) 환경변수들 목록 확인 @ 환경변수 : Linux기반 OS에서 시스템 자체에 전역변수를 설정한 것 : 프로그램 동작에 영향을 미치는 값들 : 환경에 따라 프로그램 동작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값들 : 환경변수를 설정해줌으로써, 환경설정을 쓸 수 있는 것임 ex) 프로그램 사용 시, 프로그램 폴더 경로 등 @ 지역 환경변수 : 환경변수를 생성한 특정 사용자만 사용할 수 있는 환경변수 @ 전역 환경변수 : 모든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환경변수 @ 환경변수 임시적용 : 터미널 종료시, 환경변수 자동삭제됨 : 반드시 =의 앞뒤..

    [백엔드] 리눅스(Linux) 기초 3 - 권한부여 (chmod rwx)

    [백엔드] 리눅스(Linux) 기초 3 - 권한부여 (chmod rwx)

    @ 파일 상태 이해하기 : ls -l로 파일정보 출력 후 나오는 코드 : 우측 그림에서와 같이, 파일 형식/user/group/other 순서다 1) d or - : directory or not directory(즉, 파일) 2) rwx : 순서대로 read write execute. 즉, 권한 여부 3) user : 파일 소유자 4) group : 여러 user가 포함되있음. 같은 그룹 내 유저는 동일한 group 액세스 권한을 가짐 5) other : 파일에 대한 액세스 권한이 있는 다른 user. 파일을 만들지 않은 다른 모든 user를 의미. 따라서 other권한을 설정하면, global권한 설정임. tip. Ctrl _ X => Y => Enter : 코드를 작성한 다음 Ctrl + X, Y,..

    [백엔드] 리눅스(Linux) 기초 2 - 패키지/패키지 매니저

    [백엔드] 리눅스(Linux) 기초 2 - 패키지/패키지 매니저

    @ 패키지와 패키지 매니저란? : 패키지의 설치, 변경, 삭제 등 관리를 편리하게 해주는 도구 : 모든 패키지의 저장소 위치를 저장함 : 설치된 모든 프로그램의 업데이트를 확인 : 필요 없는 프로그램을 제거 @ 학습목표 1. 패키지와 패키지 매니저 필요성을 이해 2. 각 운영체제에 맞는 패키지 매니저를 사용 MacOS 운영체제에서 터미널을 통해 Homebrew 패키지 매니저를 설치하고 패키지를 관리하는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다. brew update: 패키지의 업데이트 여부 확인 brew outdated: 업데이트 필요한 파일 조회 brew upgrade: 프로그램 업그레이드 brew info: 프로그램의 정보 확인 brew install: 프로그램 설치 brew list: 설치된 프로그램 목록 보기 b..

    [백엔드] 리눅스(Linux) 기초 1 - 기본 사용법/단축키/nano

    [백엔드] 리눅스(Linux) 기초 1 - 기본 사용법/단축키/nano

    사전준비 1. 리눅스 설치 : 참고링크 2. 배경지식 1) CLI와 GUI란? : CLI (커맨드 라인 인터페이스), GUI(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) 2) 아이오 (I/O) : Input/Output 3) 서버 사용 원리 : CLI를 이용해 서버 컴퓨터로 접속요청 => 서버 컴퓨터가 요청에 의해 출력(모니터 등) 4) brew : MAC OS에서 사용하는 패키지 설치 명령어 5) AWS : 인스턴스 시작 = 컴퓨터 하나 빌리는 것 6) 우분투 에러 수정 : 참고링크 7) prompt : CLI의 명령줄 대기모드를 가리키는 것으로써, 터미널 화면에서 글자가 입력되는 한 줄의 공간 8) WSL란? : Window Service for Linux (예를들어 우분투) WSL1과WSL2 차이 (공식문서) WSL2..

    22.06.30

   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.

    Twittler - mock up codes

   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.

    22.06.29

   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.

    Kakao Oven 단축키 (Wire frame)

    키보드 단축키 페이지 새 페이지 삽입 Ctrl + I 이전/다음 페이지로 가기 또는 Page Up, Page Down 저장하기 Ctrl + S 실행 취소 Ctrl + Z 다시 실행 Ctrl + Shift + Z Editing objects 텍스트 편집모드 (편집 가능한 개체를 선택한 상태에서) Enter 텍스트 편집모드 종료 Ctrl + Enter 전체 선택 Ctrl + A 다중 선택에 추가/제외 Ctrl + 오브젝트 클릭 중심점 기준 리사이즈 Alt + 오브젝트 리사이즈 1픽셀씩 이동 (움직이고자 하는 개체 선택 후) ← ↑ ↓ → 10픽셀씩 이동 (움직이고자 하는 개체 선택 후) Shift + ← ↑ ↓ → 15도 단위로 회전 Alt + ← → 45도 단위로 회전 Shift + 오브젝트 회전 삭제하기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