AWS/Error
[AWS EC2] 프로젝트 수정 후 EC2 인스턴스 log에 반영이 안되는 경우
문제상황 : Github Actions를 이용해 AWS에 자동화 연결을 한 상황 : 프로젝트에서 controller등 변화를 주고, Actions를 통한 빌드 성공 후, CodeDeploy에서 배포가 성공했으나, EC2 인스턴스에서 log를 찍었을 때 반영이 안된 상황 원인 : 기존에 사용했던 EC2 인스턴스의 포트(8080 등)가 아직 실행중이라, 업데이트가 반영되지 못한 것 해결방법 : 사용중이던 포트를 찾아 포트종료를 시킨 후, 다시 GitHub Actions를 통한 빌드를 진행해주자 : 포트 죽이는 법 링크 https://radpro.tistory.com/346
![[AWS EC2] 8080포트 사용중 에러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a%2Fcw4jnz%2FbtrN3n8hbLi%2FAAAAAAAAAAAAAAAAAAAAAPlmsUMN7ZulTT5xx2rlEOTv9AR1-sjMX7cUkXCkYVtR%2Fimg.png%3Fcredential%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%26expires%3D1756652399%26allow_ip%3D%26allow_referer%3D%26signature%3D%252Bsz%252Fp7%252FOwSP2W6RmaXszDS%252FtH%252BA%253D)
[AWS EC2] 8080포트 사용중 에러
문제 : EC2 상에서 8080 등 원하는 포트가 이미 사용중일 때, 포트를 죽여보자 해결방법 1. 우선 8080 포트가 사용중인지 확인 및 8080포트의 PID번호를 찾아야 한다 : EC2 인스턴스 => 연결 => Session Manager 연결 // 8080 포트만 조회 $ sudo lsof -i:8080 // TCP 사용중인 포트 전체 조회 $ sudo lsof -PiTCP -sTCP:LISTEN 2. 포트가 사용중이라면, 해당 포트의 PID번호로 포트를 죽인다 $ sudo kill -9 PID번호
![[AWS CodeDeploy] 배포 실패 에러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a%2FcEs1TQ%2FbtrN0ofHSJz%2FAAAAAAAAAAAAAAAAAAAAAM9GoYx0_zVhL4Ku5i5MOBf7k13Qd18c-iNIokYyy8Nn%2Fimg.png%3Fcredential%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%26expires%3D1756652399%26allow_ip%3D%26allow_referer%3D%26signature%3DDQIuIBEoD0r6VgAkUkvJYTVSy1Y%253D)
[AWS CodeDeploy] 배포 실패 에러
에러 확인 화면 : 개발자 도구 > CodeDeploy > 애플리케이션 > 본인의 애플리케이션 > 배포 그룹 에러 로그 유형 1 : The overall deployment failed because too many individual instances failed deployment, too few healthy instances are available for deployment, or some instances in your deployment group are experiencing problems. 유형 2 : The deployment failed because a specified file already exists at this location: /home/ubuntu/action/grad..
![[AWS] 파라미터 설정 중 에러 읽기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a%2FSljte%2FbtrN0oLM8Oz%2FAAAAAAAAAAAAAAAAAAAAANZ5AJyMBf8IHHeHWbu-eP3ViOjZYtA_0FlnxDXVBIYU%2Fimg.png%3Fcredential%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%26expires%3D1756652399%26allow_ip%3D%26allow_referer%3D%26signature%3DA3z8zu4aQ%252BLalNZsaUlGwzjKZ4g%253D)
[AWS] 파라미터 설정 중 에러 읽기
에러 화면 종류 1. 리소스 네임 문제 2. 리전 문제 용어 arn : AWS Resource ssm : 키값 PutParameter : IAM 권한에 설정해 놓은 권한 중 하나 문제 및 해결과정 1. 리소스 네임 문제 : IAM의 사용자 => 리소스 => 요약 => 권한 => 리소스네임에 있는 대로 해야함 2. 리전문제 : 본인의 리전에 맞게 바꿔서 사용해야한다
![[AWS / MySQL] bash를 이용한 mysql command not found error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a%2FbAZjYx%2FbtrNNorLz5z%2FAAAAAAAAAAAAAAAAAAAAAAVMuq2xAGgFCjxwsVncuZ0k1eizANHro5iFZXcHBe-s%2Fimg.png%3Fcredential%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%26expires%3D1756652399%26allow_ip%3D%26allow_referer%3D%26signature%3Dco2FZfx5RjYyCSDaMUNysHQ3Z%252FY%253D)
[AWS / MySQL] bash를 이용한 mysql command not found error
에러코드 mysql command not found error : 즉, mysql 명령어를 찾을 수 없다는 얘기 원인 : 시스템 환경 변수에 mysql 관련 환경변수가 설정이 되어 있지 않아서 발생 (분명 mySQL을 설치했음에도 왜 이럴까 할 것이다. 설치랑 무관한 일이다) : 시스템 환경 변수를 설정해 두어야 외부 폴더에서 mysql명령을 호출 할 수 있다 해결방안 방법 1) 1. 윈도우 버튼(시작버튼)을 누르고, 시스템 환경 변수 편집 검색 2. 환경변수 => 시스템변수에서 path 선택 => 편집 3. 아래의 경로를 넣고 확인 : 본인의 MySQL bin 폴더 경로에 맞춰서 넣어야 한다. C:\Program Files\MySQL\MySQL Server 8.0\bi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