Java & Spring
[SpringSecurity] java.lang.IllegalArgumentException: There is no PasswordEncoder mapped for the id "null” 에러
에러코드 java.lang.IllegalArgumentException: There is no PasswordEncoder mapped for the id "null” 원인 패스워드를 암호화 하지 않고 User를 등록한다면 User 등록은 되지만 로그인 인증 시, 에러발생 해결방법 User의 패스워드는 반드시 암호화 하기
![[인증/보안] HTTP / HTTPS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a%2FbM99lx%2FbtrMEsPGW7l%2FAAAAAAAAAAAAAAAAAAAAAI8XbDIwjjEEgOx2RISl5z9T-m_8zt0fdZDHEkFofUqZ%2Fimg.png%3Fcredential%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%26expires%3D1756652399%26allow_ip%3D%26allow_referer%3D%26signature%3D77nMnUYNZrRpbRW9TM%252FQ4akRLMI%253D)
[인증/보안] HTTP / HTTPS
HTTP ( 포트번호 80 ) : 서버/클라이언트 모델을 따라 데이터를 주고받기위한 프로토콜 1. 특징 : 무상태성(=비연결성=stateless)의 성질 2. 구조 HTTPS ( 포트번호 433 ) : HTTP + Security (SSL or TLS) : HTTP에 데이터 암호화가 추가된 프로토콜 1. 특징 1) 기밀성 : 메세지를 가로챌 수 없음 = 읽을 수 없음 2) 무결성 : 메세지가 조작되지 않음 = 수정할 수 없음 2. 확인 : 브라우저 URL 창에 있는 자물쇠 아이콘을 클릭하면 확인할 수 있다 SSL과 TLS : 인증서 1. SSL(Secure Socket Layer) : 브라우저와 서버 사이의 암호화된 연결을 수립하는데 쓰는 인증서 2. TLS(Transport Layer Security)..
![[인증/보안] 인증서 발급 및 SpringBoot 프로젝트에서 HTTPS 서버구현 (IntelliJ)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a%2FbDJNU2%2FbtrMxWSvZmQ%2FAAAAAAAAAAAAAAAAAAAAAPvff78Hj5dqcycBWD6nubCssm70uVAfZbMpedoD1kRu%2Fimg.png%3Fcredential%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%26expires%3D1756652399%26allow_ip%3D%26allow_referer%3D%26signature%3DeS69CZ85B8o5TaHVBwhm8Pu6SzY%253D)
[인증/보안] 인증서 발급 및 SpringBoot 프로젝트에서 HTTPS 서버구현 (IntelliJ)
필요한 Tools SpringBoot : Initializer https://start.spring.io/ WSL2 + Ubuntu IntelliJ 프로젝트 생성 1. SpringBoot Initializer를 통해 프로젝트 하나 생성한다 * 필자의 경우 아래와 같이 생성했다. 필요시 Dependencies를 추가, Java 버전 변경, 프로젝트 이름 변경 등 하면된다. 2. Generate로 압축파일 다운로드 후, 원하는 경로에 압축해제 * 필자는 바탕화면에 Spring폴더(디렉토리)를 따로 만들어 관리한다. 3. IntelliJ를 실행하여, 해당 폴더를 연다 인증서 발급 : Ubuntu, WSL2, powershell 등 사용 * 여기선 Ubuntu를 IntelliJ내 터미널 탭으로 열어서 사용할 것..
[오류코드] HTTP 상태 코드
100번대 : 조건부 응답 : 요청을 받았으며, 작업을 계속한다 100 (계속) : 요청 받았고, 다음 요청 기다리고 있는 상태 101 (프로토콜 전환) : 요청자가 서버에 프로트콜 전환을 요청했으며, 서버가 이를 승인하는 중인 상태 102 (처리) 200번대 : 성공 : 요청한 동작을 수신 => 이해 => 승낙 => 처리완료 했다는 뜻 (트랜잭션 commit) 200 (성공) 201 (작성됨) 202 (허용됨) 203 (신뢰할 수 없는 정보) 204 (콘텐츠 없음) 205 (컨텐츠 재설정) 206 (일부 콘텐츠) 207 (다중 상태) 208 (이미 보고됨) 226 (IM Used) 300번대 : Redirection 완료 : 클라이언트는 요청을 마치기 위해 추가 동작을 취해야하는 상태 300 (여러 선..